[Unity3D] 타이머를 설정하는 방법
유니티를 개발할때 일정 시간 이후 이벤트를 걸어야 할 경우가 많습니다! 이럴때 어떻게 타이머를 설정해야 할까요? 그 방법에 대해서 빠르게 알아보겠습니다. 오늘 설명할 방법은 3가지입니다. 1. Time.deltatime을 활용 2. 코루틴 활용 3. invoke 활용 먼저 Time.deltatime을 활용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. 해당 방법은 다른 이론없이 update내에서 간단하게 구현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. float dTime = 0; // Update is called once per frame void Update() { dTime += Time.deltaTime; if(dTime >= 5f){ Debug.Log("5초 경과!!"); dTime = 0; } - 전역변수로 dTime을 설정해줍니다..
개발/UNITY3D
2020. 9. 18. 11:49
반응형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게임
- 튜토리얼
- 게임 개발
- Lombok
- 스크럼
- JIRA
- 보따리장사
- 인디
- QueryDSL
- frontend
- JPQL
- 인디게임
- 턴드림
- 개발
- Unity3D
- 우주게임
- spring boot
- 개발일지
- 사이드프로젝트
- JPA
- 이명규
- 유니티
- 게임개발
- 신작
- 용사
- Java
- studio108
- mobx
- 모험
- spring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글 보관함